728x90
반응형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서울시와 전북특별자치도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두 지역의 유치 노력과 현재 진행 상황 그리고 어떤 나라들이 유치경쟁에 참여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2036년 하계올림픽 개요
- 2036년 하계올림픽은 제36회 하계올림픽으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국제 스포츠 행사입니다.
- 개최지는 2025년 하반기에 결정될 예정이며, 여러 도시와 국가들이 유치 경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2036년 하계올림픽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 주최하는 세계적인 스포츠 행사로, 매 4년마다 열리는 대회입니다.
- 이번 대회는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개최되는 하계올림픽으로, 많은 국가들이 유치 경쟁에 나서고 있습니다.
- 특히, 한국은 서울과 전북이 유치 후보지로 나서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서울시의 유치 노력
- 서울시는 1988년 이후 48년 만에 다시 올림픽을 개최하기 위해 적극적인 유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 2024년 5월부터 11월까지 '2036 서울올림픽 유치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 결과,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이 1.03으로 나타나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했습니다.
- 총비용은 5조 833억 원, 총편익은 4조 4,707억 원으로 추산되며,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비용 3조 358억 원, 편익 3조 1,284억 원입니다. 서울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올림픽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또한, 서울시는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흑자 올림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988년 올림픽 개최 경험과 풍부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대회를 준비하고자 합니다.
전북특별자치도의 유치 노력
- 전북특별자치도는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지방 도시들의 연대를 강조하며 독자적인 유치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김관영 전북지사는 전북의 풍부한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활용한 올림픽 개최를 제안하며, 지역 균형 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전북은 올림픽 유치를 통해 지역 관광 산업의 발전과 인프라 개선을 도모하고, 국제적인 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국내 유치 경쟁 현황
- 대한체육회는 2025년 2월 28일 대의원총회를 통해 서울시와 전북특별자치도 중 한 곳을 2036년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 도시로 선정할 예정입니다.
-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관영 전북지사는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각 지역의 강점을 강조하며 유치 의지를 표명할 계획입니다.
- 한편, 두 지역의 공동 개최 권고안이 제시되었으나, 대한체육회 이사회에서 정족수 부족으로 상정이 무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단독 개최를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적 유치 경쟁 현황
-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여러 국가와 도시들이 경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이집트는 아프리카 최초의 올림픽 개최를 목표로 신행정수도에서의 유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인도의 아마다바드와 뉴델리, 중국의 칭다오, 카타르의 도하 등도 유치 의사를 밝히고 있습니다.
-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025년 하반기에 2036년 하계올림픽 개최지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며, 각 도시와 국가들은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결론 및 전망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서울시와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쟁은 각 지역의 특성과 강점을 바탕으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국내 유치 도시 선정이 임박한 가운데, 두 지역 모두 성공적인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인 경쟁 상황에서도 대한민국이 다시 한번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도록 국민들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