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서울시와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쟁과 전망

by 은다미보미 2025. 2. 24.
728x90
반응형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서울시와 전북특별자치도가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습니다. 두 지역의 유치 노력과 현재 진행 상황 그리고 어떤 나라들이 유치경쟁에 참여하고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 경쟁

<목차>

  1. 2036년 하계올림픽 개요
  2. 서울시의 유치 노력
  3. 전북특별자치도의 유치 노력
  4. 국내 유치 경쟁 현황
  5. 국제적 유치 경쟁 상황
  6. 결론 및 전망

2036년 하계올림픽 개요

  • 2036년 하계올림픽은 제36회 하계올림픽으로, 전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국제 스포츠 행사입니다.
  • 개최지는 2025년 하반기에 결정될 예정이며, 여러 도시와 국가들이 유치 경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2036년 하계올림픽은 국제올림픽위원회(IOC)에서 주최하는 세계적인 스포츠 행사로, 매 4년마다 열리는 대회입니다.
  • 이번 대회는 아시아에서 두 번째로 개최되는 하계올림픽으로, 많은 국가들이 유치 경쟁에 나서고 있습니다.
  • 특히, 한국은 서울과 전북이 유치 후보지로 나서고 있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2036 하계올림픽 유치 성공기원
2036 하계올림픽 유치 성공기원

 

서울시의 유치 노력

  • 서울시는 1988년 이후 48년 만에 다시 올림픽을 개최하기 위해 적극적인 유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 2024년 5월부터 11월까지 '2036 서울올림픽 유치를 위한 사전타당성 조사'를 진행한 결과, 비용 대비 편익 비율(B/C)이 1.03으로 나타나 경제적 타당성을 확보했습니다.
  • 총비용은 5조 833억 원, 총편익은 4조 4,707억 원으로 추산되며, 현재가치로 환산하면 비용 3조 358억 원, 편익 3조 1,284억 원입니다. 서울시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올림픽 유치에 박차를 가하고 있습니다.
  • 또한, 서울시는 기존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여 '흑자 올림픽'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1988년 올림픽 개최 경험과 풍부한 인프라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대회를 준비하고자 합니다.

 

 

 

전북특별자치도의 유치 노력

  • 전북특별자치도는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지방 도시들의 연대를 강조하며 독자적인 유치 활동을 전개하고 있습니다.
  • 김관영 전북지사는 전북의 풍부한 자연환경과 문화유산을 활용한 올림픽 개최를 제안하며, 지역 균형 발전과 경제 활성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전북은 올림픽 유치를 통해 지역 관광 산업의 발전과 인프라 개선을 도모하고, 국제적인 도시로서의 위상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2036 하계올림픽 전북 유치 선언
2036 하계올림픽 전북 유치 선언

 

국내 유치 경쟁 현황

  • 대한체육회는 2025년 2월 28일 대의원총회를 통해 서울시와 전북특별자치도 중 한 곳을 2036년 하계올림픽 국내 유치 도시로 선정할 예정입니다.
  • 오세훈 서울시장과 김관영 전북지사는 직접 프레젠테이션을 통해 각 지역의 강점을 강조하며 유치 의지를 표명할 계획입니다.
  • 한편, 두 지역의 공동 개최 권고안이 제시되었으나, 대한체육회 이사회에서 정족수 부족으로 상정이 무산되었습니다. 이에 따라 단독 개최를 위한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국제적 유치 경쟁 현황

  •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해 여러 국가와 도시들이 경쟁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 이집트는 아프리카 최초의 올림픽 개최를 목표로 신행정수도에서의 유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인도의 아마다바드와 뉴델리, 중국의 칭다오, 카타르의 도하 등도 유치 의사를 밝히고 있습니다.
  • 국제올림픽위원회(IOC)는 2025년 하반기에 2036년 하계올림픽 개최지를 최종 선정할 예정이며, 각 도시와 국가들은 유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다양한 전략을 펼치고 있습니다.

 

 

결론 및 전망

2036년 하계올림픽 유치를 위한 서울시와 전북특별자치도의 경쟁은 각 지역의 특성과 강점을 바탕으로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국내 유치 도시 선정이 임박한 가운데, 두 지역 모두 성공적인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국제적인 경쟁 상황에서도 대한민국이 다시 한번 올림픽을 개최할 수 있도록 국민들의 관심과 지지가 필요합니다.

 

반응형